★ 용접기자재/용접기

용접기/용접봉 - 용접장비 및 용접작업방법

깜부 2010. 10. 6. 17:00

용접기/용접봉 - 용접장비 및 용접작업방법

 

▶ ARC 용접장비 및 용접 작업 

 

▶ 용접을 하기위해 필요한 장비( 용접 기자재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다양한 용접기,용접기자재,용접봉 및 가격 정보를 확인 할수 있습니다 >

 

 

▶  arc 용접장비 및 용구 설명 

누름판

용접 중 모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거운 중추를 모재위에 올려 놓는다

Clamp

용접 중 모재의 움직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clamp로 고정한다

냉각기

용접 중 용접부 외의 모재가 열영향을 받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큰 동(銅) block이나 수냉관을 이용하여 냉각시킨다

spacer

용접이 진행되면서 용접부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벌려놓기 위해 spacer를 사용며, 용접을 진행하면서 중간 중간에 밀어 옮긴다

동심 원통조립용 jig와
원통용 회전 jig

원통을 용접할 때 작업자가 원통을 돌아가면서 용접하기가 불편하므로 원통을 회전시키면서 용접할 때 사용한다

flange 고정

모재를 세워 지지하는데 사용한다

용접봉 holder

용접봉의 피복이 없는 부분을 물고 용접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며, 전류를 cable에서 용접봉으로 전하므로 감전사(感電死)나 전격(電擊)의 위험이 없도록 용접봉을 무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철저히 절연되어야 한다

접지 clamp(ground clamp, earth clamp)

모재에 용접기를 접속시키는 것으로서, 접점에서 저항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속이 확실하여야 한다

전선(welding cable)

용접기에 사용하는 전선에는 전원에서 용접기에 연결하는 1차측의 전선과 용접기에서 피용접물까지의 2차측의 전선이 있다.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2차측의 전선은 유연성을 주기 위하여 수 많은 가는선으로 되어 있다

cable lug 및 cable splicer

전선을 용접기 또는 전선의 연장에 사용되는 도구

환기장치

arc 발생 부근에 hood를 설치하여 용접시 발생하는 gas를 빨아내야 한다. 특히 황동, 청동, 납합금 및 아연 도금판 등을 용접할 때에는 유해 gas에 유의해야 한다

helmet과 hand shield

용접 arc에서 강열하게 나오는 유해 광선인 자외선(紫外線), 적외선(赤外線) 및 spatter로 부터 눈, 얼굴, 머리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광 lens가 있는 가리개이다

귀마개 및 방진 mask(ear muff, dust mask)

용접 arc에서 강열하게 나오는 유해 광선인 자외선(紫外線), 적외선(赤外線) 및 spatter로 부터 눈, 얼굴, 머리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차광 lens가 있는 가리개이다

보호의(保護衣)

용접 중에 spatter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가죽 또는 석면 등으로 만든 앞치마, 팔 cover, 장갑, 발 cover 등이 있다

chipping hammer

용접 중에 spatter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가죽 또는 석면 등으로 만든 앞치마, 팔 cover, 장갑, 발 cover 등이 있다

          이들 외에 측정자, 각도기 및 용접부의 slag을 털어 내기 위한 wire brush 등이 필요하다

 

▶  용접장비 및 용구 이미지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용접기,봉접봉,용접기자재 등 다양한 제품 및 현재 가격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 용접홀더 >                                  < 접지 >                                    < 전선 >           

 

 

          < 용접안면구>                                  < 용접보호의 >                                    < 면체마스크 >

 

▶  용접작업 설명

   용접재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홈(groove)가공을 하며, 용접부에 불순물이 있으면 제거한다.
   모재가 두꺼워 다층(多層)용접을 할 때는 각 층마다 slag를 제거한 후에 다음 층의 용접을

   시행한다.
   고탄소강, 주철, 및 특수강처럼 국부적으로 가열하면 터지기 쉬운 것은 모재를 100 ~ 400℃

   정도로 예열한다.
   용접순서는 잔류응력(殘留應力)과 변형의 방지, 공정수의 절감을 고려하여 정하며,

   모재의 재질,두께,형상과 용접자세에 따라 용접봉을 선택하고 용접 조건을 정한다.  

 

▶  용접 방향

 용접 방향에 따라 용접을 분류하면 전방용접, 후방용접, 좌우용접 등이 있다. 

전방용접

용접선(bead) 또는 그 연장선상에 용접공의 몸을 두고 전방을 향하여 용접해 가는 방법이며, 하향용접뿐 아니라 수직용접과 상향용접에도 적용된다. 하향 및 상향 용접에서는 용접봉을 용접선에 대하여 70 ~ 80°정도로 경사시키고, 수직용접에서는 용재(鎔滓)가 용착금속(熔着金屬)에 혼입될 염려가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후방용접

전자와 반대로 용접공을 향해서 용접하여 오는 방법이며, 장단점도 대체로 전자 것의 반대이다. 탄소용접봉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좌우용접

용접선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에 몸을 두고 좌에서 우로 혹은 우에서 좌로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수평용접에 주로 채용되며, 하향용접에도 잘 쓰인다. 그러나 상향용접에서는 홈(groove)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불편하다

 

▶  용접 작업 : 운봉법(運棒法; weaving, beading)

운봉법에는 용접선(bead) 위를 직선으로 움직이는 방법, 용접선의 폭을 넓게하고 용재의

부상(浮上)을 돕기 위하여 용접선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봉법 등이 있다.
용접작업 시발점에서 용적(熔滴)이 누적되어 용접선이 과대해지거나 종점에서 crater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용접선의 폭이 너무 크면 운봉을 빨리하고, 그 반대이면 느리게 한다.
arc가 중단되면 crater가 생기므로 보다 전방에서 arc를 발생시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crater를 메우고 용접을 계속한다

 < 운봉법 >

▶  용접봉 각도 

 

용접부의 조건에 따라 다르나 용접작업의 편리함과 용접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적정한 용접봉의 각도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 그림의 값을 택하고 있다

 

 

 

 

 

 

 

▶  용접작업 : 용접봉의 지름과 전류

  강의 용접조건은 나선(裸線) 3 ~ 6mm의 용접봉으로 하향용접을 할 때 전압이 15 ~ 25V이고,
  피복봉에서는 20 ~ 28V 정도이다. 전류가 너무 크면 spatter가 많고 *undercut이 일어나기 쉽다.
  전류가 너무 약하면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늦고 용적(熔滴)이 커져 모재에 옮겨져서 overlap이 생기고
  용입(熔入)이 불량해진다.
  arc의 길이는 심선(心線)의 지름과 같은 정도가 좋다. 너무 길면 arc가 불안정하고 산화와 질화의
  가능성이 커진다.
 

  

***********************************************************************************

아래를 클릭 하시면 기계부품 및 다양한 산업용품 정보를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클~~릭 

 

기계부품, 산업용품 전문 모두다몰

 

취급품목 : 베어링/모터/볼트/너트/송풍기/동력전달부품/기계요소

공작기계/엔진기계/식품기계

전동공구/에어공구/유압공구/용접기/용접봉/안전용품

측정공구/측정기기/공작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