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반가공 >
< 선반 구조 및 명칭 >
1. 선반의 크기 표시
선반의 크기는 베드 위에서 스윙(swing), 왕복대 상의 스윙, 양 센터 사이의 거리로 나
타낸다.
2. 선반의 종류
(1) 탁상선반 : 정밀 소형기계 및 시계부품 가공
(2) 보통선반 : 가장 많이 사용
(3) 정면선반 : 직경이 크고 길이가 짧은 공작물 가운대형 풀리, 플라이훨 )
(4) 수직선반 : 증량이 큰 대형공작물 직경이 크고, 폭이 좁으며 불균형한 공작물을 가
공하며 공작물 고정이 쉽고 안정된 중 절삭이 가능하고 비교적 정밀하다 .
(5) 터릿선반 : 터릿으로 불리는 선회 공구대를 가진 것으로 너트, 와셔 나사, 핀 등 모
양이 간단한 제품의 대량 생산용, 램형, 새들형, 드럼형 둥이 있다.
(6) 공구선반 : 릴리빙 장치 (=Back off 장치)를 가진 것으로 절삭공구(호브 커터, 탭
등 ) 의 여유각을 가공한다 .
(7) 자동선반 : 캠이나 유압기구를 사용하여 자동화한 것으로 핀, 볼트, 시계, 자동차 생
산에 사용된다 .
(8) 모방선반 : 형상이 복잡하거나 곡선형 외경만을 가진 일감을 많이 가공할 때 편리
하며 트레이서를 접촉시켜 형판모양으로 공작물을 가공한다 . 자동모방 장치이용,
테이퍼 및 곡면 등을 모방 절삭, 유압식, 전기식 전기 유압식이 있다.
(9) 차축선반 : 철도 차량용 차축 가공한다.
(10) 크랭크축 선반 : 크랭크축의 베어링 저널과 크랭크 핀 가공한다.
(11) 갭 선반 : 베드 상의 스윙을 크게 하기 위해서 주축대로부터 베드의 일부가 분해 될 수 있는 선반이다.
(12) 차륜선반 : 철도차량의 차륜을 깎는 선반으로 정면선반 2개를 서로 마주본다.
3 . 선반의 구조
( 1 ) 주축대 (Head stock)
주축대에는 공작물을 지지하면서 희전을 주는 주축(spindle)과 이것을 지지하는 베
어링(bearing) 및 주축에 희전을 주는 구동 기구인 속도 변환 장치가 내장되어 있으
며, Ni-Cr강, 침탄강, 질화강 등으로 제작되어 있다 . 2점 또는 3점 지지방식을 사용
한다.
주축은 중공축으로 되어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① 무게를 감소하여 주축 배어링에 작용하는 륵중을 줄여준다
② 중공은 실축보다 굽힘과 비틀림 응력에 강하여 강성을 유지한다 .
③ 긴 공작물을 고정에 편리하다
④ 고정된 센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 콜릿 척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차식 주축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4-1. 벨트걸이로 구조가 간단하다 .
4-2 주축 속도 변환이 작으며 고속회전이 어렵다 .
4-3 백 기어 ( 저속강력절삭목적 ) 가 설치되어 있다
4-4 값이 싸나 운전시 위험이 따른다 .
( 2 ) 주축대의 회전속도열
등차급수, 등비급수 대수급수 복합등비급수 등이 있으며 등비급수 속도열은 가공
물의 지름에 관계없이 절삭속도를 일정한 강하율로 적용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
용한다 .
( 3 ) 심압대(Tail Stock)
심압대는 우측 베드 상에 있으며, 작업내용에 따라 좌우로 음적여 위치조정이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심압대에서 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① 축에 정지 센터를 끼워 긴 공작물을 고정하거나 센터 대신 드릴 ㆍ 리머 등을 고
정할 수 있다.
② 조정나사의 조정으로 심압대를 편위시켜 테이퍼를 절삭 한다 .
③ 심압축을압축을 음직③ 심압축을 음직일 수 있다.
④ 심압축은 모스 테이퍼(morse taper) 로 되어 있다.
또한, 심압대의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4-1. 심압대는 배드의 어떠한 위처어도 적당히 고정할 수 있을 것
4-2. 센터를 고정굵는 심압대의 스핀들은 축 방향으로 이동#여 적당한 위퓻어 고정
할 수 있을 것
4-3. 축 중심을 편위시켜 테이퍼를 가공할 수 있을 것
( 4 ) 베드 ( Bed )
베드의 재질은 46%~60%의 강절 파쇠를 넣어 만든 강인주철, 구상흑연, 주철, 미하
나이트 (meehanite)주철, 인장강도 3N/mm2 이상의 합금주철 등의 고급 주철을 사
용하고, 주조로 인한 내부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시즈닝(seasoning) 처리하여 사용한
다. 베드에는 절삭작용에 의해 비틀림 작용과 굽힘 작용을 받으므로 리브 (rib) 를 붙
여서 튼튼하게 한다. 이 형식은 평행형, 지그재그형, 십자형, X형 등이 있다
( 5 ) 왕복대
왕복대의 베드 윗면에서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를 슬라이드 운동하는 부분으로 에
프런 (apron), 새들 (saddle), 복식공구대 (compound rest) 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
이송은 이송축과 에이프런 (apron) 내부의 기어장치, 나사가공은 리드 스크루의 희
전을 하프너트 ( half nut ) 로 왕복대에 전달해 이송한다.
***********************************************************************************
아래를 클릭 하시면 기계부품 및 다양한 산업용품 정보를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클~~릭 ↓↓
***********************************************************************************
'쟁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반가공 - 선반작업 (0) | 2010.07.12 |
---|---|
선반가공 - 선반의 부속장치 (0) | 2010.07.10 |
절삭기계가공법 - 공작기계 정밀도 검사 (0) | 2010.07.08 |
절삭력과 절삭동력 (0) | 2010.07.07 |
절삭공구재료 (0) | 201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