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이야기

하역의 개념과 하역 합리화의 원칙

깜부 2017. 1. 21. 15:58

◐ 하역 어떻게 하면 잘할까? ◑

 

하역은 운송및 보관과 함께 발생하는 작업으로 원재료의 조달부터 생산-소비에 이루는 
전 유통과정에서 행해진느 작업이다
그런 점에서 하역의 합리화는 물류의 합리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의미를 차지한다
그래서 하역의 개념과 하역의 합리화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 하역의 개념

하역은 물품을 운송 하거나 보관할시에 그와 함꼐 수반하여 발생하는 부수작업으로서
수송이 공간적 효용을 창출하고 보관이 시간적 효용을 산출하는 것과는 달리그 자체로는
가치를 창출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송/보관의 전후에는 하역작업이 수반되는것이기 떄문에 하역의 합리화는
무시 할수 없다
원재료의 조달에서부터 생산 소비에 이르는 전 유통과정에서 하역이 행해진다는 점에서
하역 합리화는 물류의 합리화에서 큰 의미를 차지한다
하역은 기술진보의 지연으로 국내물류 활동중에서 가장 낙후 되어 있는 부분으로
아직도 인력에의 의존도가 높은 분야이며 물류시스템의 발전을 저해할 뿐 아니라
물류비의 상승에 직접적인 영양을 미친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기계화와 자동화가 진행되어 지금은 무인화 되거나
로봇이 도입되고 있으며 자동차, 철도, 선반, 항공기 등에서 화물의 상하차 작업,
운송기관 상화간의 중계작업, 창고의 입/출고작업 등 그 범위가 매우 넓은 작업이다

 

 


▶ 하역작업의 요소별 내용

오늘날의 끌어 당기식 JIT-System 의 정보에 의존한다
이것은 MTO(Make Ro Order) 생산 방식으로 수용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에 기초한다
끌어 당기기 방식에서는 저장이 필요없다
대신 창고는 유출입센터로서 고객에게 보다 가깝게 제고를 둠으로써
향상된 고객 서비스를 목적으로 할때 적합하다
끌어 당기기 방식은 판매정보(실제적 발생 수용정보)를 기준으로
재고 보율르 하지 않고 필요한 품목을 필요한 수량만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시간에 공급하는 적가생산방식 즉 JIT(Just In Time)System 적용 방식 이다
  

 

 

 상하차 작업

운송기기 등에  물건을 싣고 내리는 것을 합쳐서 말한다

 운반작업

물건은 비교적 단거리로 이동 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생산, 유통, 소비 등 어느 경우에도 수반 되는 작업이며 동작, 시간, 수량, 공간 4요소로 구분 된다  

 쌓아림작업

물건을 창고 등 정해진 보관시설 ㅗ는 장소로 이동하여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형태로 쌓는 작업을

말한다 

 꺼내는 작업

보관장소에서 물품을 꺼내는 작업을 말한다 

분류/분배 작업 

물품을 품종별 발송처별 고객별 등으로 나누는 작업을 말한다 

 마무리 작업

실린 화물을 움직이지 않도록 줄로 묶는작업 및 운송기기에 실려진 화물이 손상 및 파손되지

않도록 화물의 밑바닥이나 틈 사이에 물건을 깔거나 끼우는 작업을 말한다 

 Ktting

익일 생산작업 공정에 필요한 하나의 묶음단위부품을 찾아 공정에 모아두는 작업을 말한다 

 At-stop

화물이 머무는 곳에서의 활동으로 집하화물적재, 배송화물하역작업을 말한다  

 End od trip

화물 도착후 필요작업으로 체크인, 집배요금정리, 화물하역작업이 해당된다 

 

▶ 하역합리화의 기본 원칙

 

 운반순도의 원칙

필요이상의 과대포장으로 종량이나 용적을 불필요하게 크게하여 운송이나 운반비

하역비가 필요이상 부담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한다 

 최소취급의 원칙

생략해도 지장이 없는 하역이나 운반은 줄여서 다시 취급 하거나 임시로 놓아두는

행위를 줄이도록 한다  

 수평직선의 원칙

 운반 거리를 직선으로 한느 것이 최단거리이고 교차, 지그재그, 왕복 등의 운반의 혼잡을

초래하는 요인을 없애 수 있다

 

1. 하역경제성의 원칙
   불필요한 하역 작업을 줄이고 가장 경제적인 하역 횟수로 하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물의 파손,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이 있다
  
2. 이동거래 및 시간의 최소화 원칙
   하역 작업의이동 거리를 최소화 하는 원칙이다
   물건을 이동 시키는 수/배송 보관 활동 등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원칙으로 물류비용과 직접 연결된다
 
3. 활성화의 원칙
   운반활성지수를 최대화 하는 원칙으로 지표와 접점이 작을수록
   활성지수는 높아지며 하역작업의 효율이 증가한다

4. 유닛로드의 원칙
   화물을 어느 일정단위로 단위화 하는 것을 말한다
   유닛화 함으로써 화물의 손상, 감모, 분실 등의 방지와 하역작업의
   효율화를 촉진할수 있다
    
5. 기계화의 원칙
   인력작업을 기계작업으로 대체하는원칙으로 기계화는 하역작업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증가시킨다

6. 중력 이용의 원칙
   화물의 중력의 법칙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것이 용이하며
   운반 코스트 관점에서 경제적이다
 
7. 시스템화의 원칙  
   개개의 하역활동을 유기체로서의 활동으로 간주하는 원칙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시스템 전체의 균형을 염두에 두고
   시너지 효과를 올리는 것이 시스템화의 기본 원칙이다

8. 인터페이스의 원칙
   하역작업의 공정 간의 접점을 원활히 소통 하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9. 표준화의 원칙
   표준적인 하역작업으로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추가하는 원칙이다
  
10. 취급균형의 원칙
   작업의 흐름에 공정에 좌우된다
   하역작업도 공정의 능력을 파악 편중화 계획을 수립하여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수 있도록 이루어져아 한다

 

◐ 하역/운반기기의 종류 ◑


★ 아래 운반기기 카테고리명을 클릭 하시면 제조사별 다양한 상품을 만나실수 있습니다.

파렛트트럭
스태커/윈치
테이블트럭/핸드카
드럼캐리어/엔진크레인
스페이스롤러

 

★ 기계부품 및 산업용품 전문 모두다몰/모두다컴 판매 상품

 상품 카테고리

 판매 상품

 기계부품

베어링, 모터/감속기(삼양감속기,지멘스모터,KGM,인버터).볼트/너트/와셔

유압/공압,풍력/송풍기,동력전달부품(체인/체인기어/풀리/파워록/카플링),기계요소(리데나/오일실/오일링/스냅링 등..)

 단품기계

소형공작기계, 건설/엔진공구, 식품기계, 세척기, 산업용청소기, 초경,절삭,공작기기,다이아몬드쏘

 공구

전동공구, 충전공구, 에어/유압공구, 작업공구/수공구, 원예공구, 배관공구,

측정공구, 측정기기, 자동차공구, 목공공구, 가정용공구(DIY공구),

포장기기공구, 철공용공구, 철물점공구, 유리작업공구, 타일미장작업공구, 툴링공구, 전기전설, 배관설비, 초경/절삭/공작기기

 산업안전용품

개인안전용품, 도로교통안전용품, 화학용품, 기타산업용품,

건설현장 안전용품,포장자재,고무용품,건축용품,인테리어용품,자동차용품,청소용품

 용접기자재

용접기/절단기, 용접봉, 용접부품

 하역운반

하역공구 : 체인블럭, 호이스트, 윈치, 리프트

운반기계 : 파렛트트럭, 스태커, 테이블트럭, 핸드카

보관관리기기 : 공구함/부품보관함/작업대

 청소용품

휴지통 : 만능용기,청통,쓰레기통,페달휴지통,박스,

청소용품 : 하우스키핑, 마포탈수기, 청소카트, 스퀴지, 스텝툴스

자재운반 : 대차,식당카트,서비스카트

푸드서비스 :식자재보관랙/카트,접시운반카트,유아용의자,안전표시판

☞기계부품 전문 모두다몰/모두다컴 바로가기 : www.modudamal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