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공구의 경제성 검토/치공구 설계의 기본원칙/치공구의 설계 계획
▶ 치공구 설계의 기본원칙
1. 공작물의 수량과 납기 등을 고려하여 공작물에 적합하고 단순하게 치공구를
결정할 것.
2. 표준 범용 치공구의 이용 및 사용하지 않는 치공구를 개조하거나 수리를 고려
할 것.
3. 치공구를 설계할 때는 중요 구성부품은 전문 업체에서 생산되는 표준규격품
사용할 것.
4. 손으로 조작하는 치공구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가볍게 설계할 것.
5. 클램핑 힘이 걸리는 거리를 되도록 짧게 하고 단순하게 설계할 것.
6. 치공구 본체에 가공을 위한 공구위치 및 측정을 위한 세트블록을 설치할 것.
7. 치공구 본체에 대해서는 칩과 절삭유가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할 것.
8. 가공압력은 클램핑 요소에서 받지 않고 위치 결정면에 하중이 작용하도록 할 것,
9. 단조품의 분할면, 주형의 분할면 탕구 및 삽탕구의 위치는 피할 것.
10. 클램핑 요소에서는 되로독 스페너, 핀, 쐐기, 망치와 같이 여러 가지 부품을 사
용하지 않도록 설계할 것.
11. 치공구의 제작비 손익 분기점을 고려 할 것.
12. 제품의 재질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13.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고나 조립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기계
가공 등의 작업을 하지 않을 것.
14. 정확한 작업을 요하는 부분에 대하여 지나치게 정밀한 공차를 주지 않도록 할
것. (치공구의 공차는 제품 공차에 대하여 20~50% 정도)
15. 치공구 도면에 주기 등을 표시하여 최대한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할 것.
▶ 치공구의 경제성 검토
대량 생산의 경우는 지그를 감가상각이라든가 가격(cost)에 관해서 염려하는 경우는
없다고 하지만, 요즘 현대 사회에서는 다품종 소량 생산이 많으므로 경제성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어느 정도 지그를 설계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한 가에 관해서
참고로 나타내면 같은 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 치공구의 설계 계획
1. 부품도(part drawing)분석
치공구 설계는 부품도를 분석할 때 치공구 설계 및 선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다
음 사항 등을 고려한다.
ㄱ. 부품의 전반적인 치수와 형상
ㄴ. 부품제작에 사용될 재료의 재질과 상태
ㄷ. 적합한 기계 가공 작업의 종류
ㄹ. 요구되는 정밀도 및 형상 공차
ㅁ. 생산할 부품의 수량
ㅂ. 위치 결정면과 클램핑 할 수 있는 면의 선정
ㅅ. 각종 공작기계의 형식과 크기
ㅇ. 커터의 종류와 치수
ㅈ. 작업순서 등
2. 공정도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ㄱ. 해당 작업에 필요한 공작물의 3도면(또는 2도면), 필요에 EK라 공작물의 스케치도
면, 단면도 등이 표시된다.
ㄴ. 공정내용 및 공정번호
ㄷ. 척도(척도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ㄹ. 재료의 제거 또는 가공되는 표면
ㅁ. 공정에서 얻어지는 치수
ㅂ. 위치 결정구, 클램프, 지지구의 위치
ㅅ. 기계 EH는 장비 명 및 번호
ㅇ. 생산 공장의 위치, 생산 부서(공장)명, 부서 번호 및 위치
ㅈ. 공정 설계 기사명 및 날짜
ㅊ. 제품명 및 부품 번호
ㅋ. 공구류 표시(게이지, 절삭공구, 특수공구 등 순서)
▶ 치공구의 종류 및 특징
지그와 고정구는 가공물의 형상이나 모양, 가공 조건, 방법, 작업내용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 분류 방법 및 종류 등이 다양하다.
1. 작업용도 및 내용에 따른 종류
최근의 자동화생산라인 및 공작 기계의 진보는 괄목할 만하며 NC화는 물론, 복합화
등 새로운 타입의 기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용도 및 내용에 따른 분류가 혼
란스러워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보았다.
ㄱ. 기계가공 치공구 : 드릴, 밀링, 선반, 연삭, MCT, CNC, 보링, 기어절삭, 브로치, 래
핑, 평삭, 방전, 레이저 등
ㄴ. 조립 치공구 : 나사체결, 리벳, 접착, 기능조정, 프레스압입, 조정검사, 센터구멍 등
ㄷ. 용접 치공구 : 위치 결정용, 자세우지, 구속용, 회전포지션, 안내, 비틀림 방지, 검
사용 등
ㄹ. 검사 치공구 : 측정, 형상, 압력시험, 재료시험 등
ㅁ. 기타 : 자동차 생산라인의 엔진 조립 지그, 자동차 용접 지그, 자동차 도장 및 열처
리 지그, 레이아웃 치공구 등 다양하게 나눌 수가 있다.
2. 모양상의 종류
형상이나 형식으로부터 플레이트형, 앵글플레이트형, 개방형, 박스형, 척형, 바이스형,
분할형, 연속형, 모방형, 교대형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3. 기구상의 종류
고정구는 가공물의 위치를 결정한 후 이것을 고정시키기 위해 조이는데 조임 기구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나사(슬라이드 스트랩 클램프)에 의한 것
(2) 캠에 의한 것
(3) 편심 축에 의한 것
(4) 래치에 의한 것
(5) 웨지(쐐기)에 의한 것
(6) 유압에 의한 것
(7) 공압에 의한 것
(8) 마크네틱에 의한 것
이상 고정구의 분류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를 조합하여
사용하길 바란다.
***********************************************************************************
아래를 클릭 하시면 기계부품 및 다양한 산업용품 정보를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클~~릭 ↓↓
***********************************************************************************